목록python (26)
Dolphins의 HelloWorld
파이썬에서 파일을 읽는 형식은 file = open(filename,mode) 이며 C나 java에서의 형태와 거의 흡사한 모습을 지닌다. open은 file에 대한 핸들러를 획득하는 것이다. file = open('my_text.txt','r')print(file) 다음과 같이 file 핸들러를 획득하고 print해주면 file에대한 정보가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다. file을 읽는 가장 기본적인 형태는 한줄 씩 읽어들이는 것이며 반복문을 통해 마지막줄 까지 읽어들이게 된다. 다음은 file을 한줄씩 읽어들이는 예시이다. file = open('my_text.txt','r') for sentence in file: print(sentence) 실행결과를 보면 줄바꿈이 두번이나 된 것을 볼 수 있다. ..
* 파이썬에서는 문자열을 색인( index)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. 아래의 코드에서 색인을 통해 접근하고 출력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. exp = 'example' print(exp[0]) #인덱스는 0부터 시작한다. print(exp[1]) print(exp[5]) * len 함수를 통해 문자열의 길이를 알 수 있다. 아래는 len함수의 활용을 통해 list에서 가장 큰 수를 추출하는 프로그램이다. mylist = [5,20,3,77,2,1] max = -1 for n in range(len(mylist)): # 0 부터 mylist의 길이 -1 까지 검사한다. if(mylist[n] > max): max = mylist[n] print(max) * 문자열의 일부를 가져오는 방법 파이썬에서는 대괄..
none 다른 언어에서 흔히 null로 표현하는것을 파이썬에서는 none으로 표현한다. 쉽게 말해서 none은 값이 없다는 의미로 쓰인다. array = [14,3,92,55,22] max_num = None for n in array: if(max_num is None): max_num = n elif(n > max_num): max_num = n print('최댓값은 {} 입니다.'.format(max_num)) 위의 코드에서 처음에는 max_num의 값이 없으므로 첫번째 조건문에서 처리가되고 다음부터는 n 과 max_num의 값을 비교해서 최댓값을 찾게된다. is 와 is not 위의 코드에서 is라는 명령어를 볼 수 있다. is는 우리가 흔히 아는 ==과 비슷한 역할을 하는 명령어이다. 하지만 i..
파이썬은 복구하고 싶은 부분에 traceback 에러를 띄우는 경향이 있다. 만일 traceback에러가 난다면 에러가 난 부분에 대하여 예외처리를 해주어야한다. 먼저 traceback 에러가 나타나는 예시를 살펴보자. num1 = 23 num2 = 0 print(num1/num2) 위의 코드는 숫자를 0으로 나누어 에러가 나는 코드이며 실행을 시켰을 떄 Traceback에러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 예외처리를 위하여 에러가 난 부분을 try로 감싸주고 except로 처리를 해주도록 해야한다. 위의 코드를 try - except를 통해 보다 바람직한 코드로 작성해보겠다. num1 = 23 n = int(input('나누고 싶은 수를 입력하시오 : ')) try: result = num1/n ex..
다른 언어의 for-each 반복문과 같은 역할을 하는것이 파이썬에도 있다. 형식은 for n in list : 이며 list배열에 있는 값을 처음부터 하나씩 변수 n에 넣어주면서 원하는 것을 처리하는 것이다. 예시를 통해 간단하게 살펴보고 넘어가겠다. list = ['하나','둘','셋','넷'] for n in list: print(n) for in range range함수 만약 0부터 원하는 숫자만큼 숫자를 만들어내고 싶다면 for in range를 사용하면 된다. 예를들어 0부터 1000미만의 숫자를 만들어내고 싶을 때 for i in range(1000) : print(i) 라는 문장을 실행해주면 0 부터 1000까지의 자연수가 출력이 된다. enumerate함수 만약 리스트에서 단순히 리스트의..
list의 생성 파이썬에서 빈 리스트를 만들 때 list 명령어를 통해 mylist = list() 이렇게 변수에 할당하면 mylist라는 빈 list가 만들어진다. 파이썬의 리스트는 재미있는 특징들을 많이 갖는다 예를들어 list1 = [10,20,30,40,50] 이라고 선언을 해 주었을 때 재밌게도 파이썬에서 print(list1) 라는 명령어를 써주면 [10,20,30,40,50] 과 같이 리스트가 한꺼번에 출력이 된다. 특정한 배열을 출력해주고 싶을 때는 다른 언어에서와 똑같이 print(list[0]) 이런식으로 출력해주면 된다. 파이썬만이 가지고있는 또 다른 성질은 list1[-1] 과 같이 배열값을 찾을 때 음수를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list1[-n]은 list1 리스트의 뒤에서 n번..
파이썬에서 입력을 받을 때는 input이라는 함수를 통해 간단하게 입력을 받는다. 코드를 통해서 보면 쉽게 알 수 있을것이다. a = input() print('입력받은 문장은 {} 입니다'.format(a)) 위 코드에서 '안녕하세요'를 입력받은 후 정상적으로 print를 통해 출력됨을 볼 수 있다. 기본적으로 input()을 통해 입력받을 때는 문자열로 입력을 받게된다.그렇다면 숫자 혹은 실수로 입력을 받고싶을 때는 어떻게 해야할까? a = "10"a = int(a)b = float(input()) 그럴 떄는 다음과 같이 자료형으로 변환하고자 하는것을 감싸주면 된다. 위의 방법들을 활용하여 단순한 덧셈프로그램을 코딩해보았다. print('숫자 2개를 입력하시오 :') a = int(input()); ..
연산자 파이썬에서도 다른언어와 같이 + - * 와 같은것을 연산자로써 사용한다. 파이썬에서 사용하는 연산자들 중 다른 언어와 좀 다른 특징적인것을 알아보겠다. ** : 거듭제곱을 하는 연산자 / : 다른 언어와는 달리 몫을 나타내는것이 아니라 나눈 값을 소수점까지 모두 나타내준다. -> 나누면 부동소수점 수가 된다. // : 이 연산자가 몫을 나타내는 연산자로 쓰인다. 자료형 파이썬도 역시 자료형을 구분한다. 파이썬에서는 type함수를 써서 자료형을 알 수 있다. 다음의 예시는 type를 통해 자료형을 알아낸 예시이다. exp = 'hello' print(type(exp)) print(type('hello')) exp2 = 1 print(type(exp2)) 숫자의 경우 float 나 int를 통해 타입..
기존에 우리가 출력을 해줄때는 다음과 같은 방식을 사용했다. subject1 = "운영체제" subject2 = "알고리즘" print('저는 이번 학기에',subject1,'와',subject2,'를 배웠습니다.' 이러한 방식 외에도 format을 이용하여 출력을 할 수 있다. format을 이용하여 출력할 때는 변수를 중괄호로 표현하고 format의 매개변수로 중괄호 안에 들어갈 변수를 순서대로 넣어주면 된다. 예시를 통해 쉽게 이해해보자 subject1 = "운영체제" subject2 = "알고리즘" print('저는 이번 학기에 {}와 {}를 배웠습니다.'.format(subject1,subject2)) sentence = '저는 이번 학기에 {}와 {}를 배웠습니다.' print(sentence..
Python에서 함수는 def를 통해 정의해줄 수 있다. 간단한 함수 활용의 예 def function(): print('함수를 만들었습니다') function() def를 통해 정의해준 함수가 잘 작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 매개변수가 있는 함수의 예 def function(a,b): if(a > b): print('a가 b보다 더 큽니다') else: print('b가 a보다 더 큽니다') a = 10; b = 20 function(a,b) a와 b에 원하는 숫자를 정의한 후 매개변수를 통해 넣어줬을 때 함수가 잘 동작함을 확인할 수 있다. 결과값이 있는 함수의 예 def circle_area(a,h): area = a*h/2 return area print(circle_area(3,5)) 위의 ..